<!DOCTYPE html>
<html lang="ko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Document</title>
</head>
<body>
<script>
//case2
function return100() { //return100 이라는 함수를 호출하면,
return 100; //100을 반환시켜준다.
}
var n2 = return100(); //n2 변수에 return100()함수를 담아준다.
documenr.write(n2); //담은 함수는 100이 반환되니, 출력시 100이 출력
//case3
function return50plus60() { //return50plus60 이라는 함수를 호출하면,
return 50 + 60; //50+60 값이 반환된다.
}
var n3 = return50plus60(); //변수에 함수를 담고,
document.write(n3); // 변수를 출력 시 110이 나온다.
//case4
function returnNN() { //returnNN 이라는 함수를 호출하면,
var nn = 120; //변수 nn에 120이라는 숫자를 담고,
return nn; //리턴하면 그 nn을 반환한다.
}
var n4 = returnNN(); //변수 n4에 함수를 담고,
document.write(n4); // 출력하면? 반환값 nn인 120이 나온다.
//case5
displayString("cat"); //displayString이라는 함수에 cat을 담아주고,
function displayString(s) { //s = cat
document.write(s); // s = cat이 출력된다.
}
//case6
displayNum(1000); //case5랑 똑같으니, 설명은 생략한다.
function displayNum(nnnn){
document.write(nnnn);
}
//case7
displayCalcNum(1000,2000); //함수에 매개변수 담고,
function displayCalcNum(a,b){ //함수에 와서, a = 1000, b = 2000
var sum = a + b; //더하고
document.write(sum); //출력하면 3000
}
//case8
function returnCalcNum(a,b){ //함수에 매개변수 넣어주고
var sum = a + b; // 더하면 육천
return sum; // 더한 값을 반환
}
var case8 = returnCalcNum(1000,5000); //returnCalcNum 함수에 값 담은 후 case8 변수에 저장
document.write(case8); //요기서 출력된다.
</script>
</body>
</html>
'구트아카데미 > 3. 자바스크립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로그인 하기. (0) | 2021.07.07 |
---|---|
로또게임 (0) | 2021.07.04 |
[자바스크립트] 가위바위보 게임 (0) | 2021.06.26 |
[자바스크립트] 퀴즈게임 (0) | 2021.06.24 |
[자바스크립트] 주사위게임 (0) | 2021.06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