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6

[스프링 부트] 기초2

1. Gradle은 의존관계가 있는 라이브러리를 함께 다운로드 한다. 2. 중요 라이브러리 spring-boot-start-web spring-boot-start-tomcat : 톰캣(웹서버) spring-webmvc : 스프링 웹 MVC spring-boot-start-thymeleaf : 타임리프 템플릿 엔진(View) spring-boot-starter(공통) : 스프링 부트 + 스프링 코어 + 로깅 spring-boot spring-core spring-boot-starter-logging logback,slf4j spring-boot-starter-test junit : 테스트 프레임워크 mockito : 목 라이브러리 assertj : 테스트 코드를 좀 더 편하게 작성하게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..

스프링 버전에 다른 변화

스프링 2.5버전 : Annotation을 활용하는 설정을 도입하면서 편리한 설정과 개발이 가능하도록 지원 스프링 3.0버전 : 별도의 설정 없이도 java 클래스만으로 설정 파일을 대신할 수 있게 지원 스프링 4.0버전 : 모바일 환경과 웹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REST 방식의 컨트롤러 지원 스프링 5.0버전 : Reactor를 이용한 Reactive 스타일의 개발 환경 지원

어노테이션 정리

@Data : 어노테이션으로, setter를 생성하는 기능과 생성자, toString() 등을 자동으로 생성한다. @Component : 스프링에게 해당 클래스가 스프링에서 관리해야 하는 대상임을 표시하는 어노테이션 @setter(onMethod_ = @Autowired) private Chef chef; : @Setter는 자동으로 setChef()를 컴파일 시 생성하고, onMethod 속성은 생성되는 setChef()에 @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. @Autowired : 필요한 의존 객체의 타입에 해당하는 빈을 찾아 주입한다. 해당 인스턴스 변수가 스프링으로부터 자동으로 주입해 달라는 표시이다. @ContextConfiguration : 지정된 클래스나 문자열을 이용해서 필요한 객체들..

@RequestMapping의 변화

이 방식은, GET,POST 방식 모두를 지원해야 하는 경우에 배열로 처리해서 지정이 가능하다. @RequestMapping(value ="/basic", method ="{RequestMethod.GET,RequestMethod.POST}) public void basicGet(){ log.info("basic get"); } 이 방식은, GET 방식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, 간편하지만 기능에 대한 제한이 많은 편이다. @GetMapping("/basicGetOnly") public void basicGet2(){ log.info("basic get only get"); 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