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 버전에 다른 변화 스프링 2.5버전 : Annotation을 활용하는 설정을 도입하면서 편리한 설정과 개발이 가능하도록 지원 스프링 3.0버전 : 별도의 설정 없이도 java 클래스만으로 설정 파일을 대신할 수 있게 지원 스프링 4.0버전 : 모바일 환경과 웹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는 REST 방식의 컨트롤러 지원 스프링 5.0버전 : Reactor를 이용한 Reactive 스타일의 개발 환경 지원 웹개발/스프링프레임워크 2021.01.10
스프링의 주요 특징 - POJO 기반의 구성 - 의존성 주입을 통한 객체 간의 관계 구성 - AOP(Aspect-Oriented-Programming) 지원 - 편리한 MVC 구조 - WAS의 종속적이지 않은 개발 환경 웹개발/스프링프레임워크 2021.01.10
어노테이션 정리 @Data : 어노테이션으로, setter를 생성하는 기능과 생성자, toString() 등을 자동으로 생성한다. @Component : 스프링에게 해당 클래스가 스프링에서 관리해야 하는 대상임을 표시하는 어노테이션 @setter(onMethod_ = @Autowired) private Chef chef; : @Setter는 자동으로 setChef()를 컴파일 시 생성하고, onMethod 속성은 생성되는 setChef()에 @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. @Autowired : 필요한 의존 객체의 타입에 해당하는 빈을 찾아 주입한다. 해당 인스턴스 변수가 스프링으로부터 자동으로 주입해 달라는 표시이다. @ContextConfiguration : 지정된 클래스나 문자열을 이용해서 필요한 객체들.. 웹개발/스프링프레임워크 2021.01.10
스프링의 의존성 주입 스프링에서 관리되는 객체를 흔히 빈(Bean) 이라고 하고, 이에대한 설정을 XML과 Java를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다. assertNotNull()은 어떤 변수가 null이 아니여야만 테스트가 성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. 웹개발/스프링프레임워크 2021.01.10
[스프링프레임워크] 기본 구조 스프링MVC의 기본 구조 프로젝트 구동 시 관여하는 XML은 web.xml , root-context.xml , servlet-context.xml 파일이 관여한다. 이 파일들 중, web.xml = Tomcat 구동과 관련된 설정 root-contxt.xml, servlet-context.xml = 스프링과 관련된 설정 이다. 스프링 MVC의 기본 구조 1. 사용자의 Request는 Front-Controller인 DispatcherServlet을 통해서 처리합니다. 2,3. HandlerMapping은 Request의 처리를 담당하는 컨트롤러를 찾기 위해 존재한다. (개발자가 @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이 적용된 것을 기준으로 판단하게 된다.) 적절한 컨트롤러가 찾아졌다면 HandlerAd.. 웹개발/스프링프레임워크 2020.11.09